web analytics
생활/문화

Postal Code 뜻 | ZIP Code 뜻 | 각 나라별 우편번호 체계

해외 온라인 쇼핑이나 웹사이트에 가입할 때 종종 Postal Code, ZIP Code, Post Code 등의 용어를 보게 됩니다. 이 단어들은 모두 한국어로 우편번호에 해당하는 개념이지만, 나라마다 부르는 이름과 형태가 조금씩 다릅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은 이 용어들이 어떤 차이인지, 또 실생활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용어의 정의와 유래를 살펴보고, 미국·영국·캐나다·한국 등 주요 국가별 우편번호 체계의 차이점과 함께 실제 해외 쇼핑몰이나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팁을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Postal Code 뜻 ZIP Code 뜻

Postal Code우편물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배달하기 위해 주소에 추가되는 번호 또는 코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우편번호 체계가 존재하는데, 흔히 사용하는 영어 용어로는 Postal Code, ZIP Code, Post Code 등이 있습니다. 이들 용어는 엄밀히 말하면 모두 우편번호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쓰이는 나라와 맥락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

  • Postal Code(포스털 코드): 일반적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로, 국가별 우편번호를 포괄적으로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공식적으로 “Postal Code”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영어권에서도 전반적으로 ‘우편번호’를 나타낼 때 쓰이는 말입니다.
  • ZIP Code(집 코드): 주로 미국에서 쓰는 용어로, ZIP은 “Zone Improvement Plan”의 약자입니다. 1963년에 미국 우정국(USPS)이 대량 우편물 분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도입한 5자리 숫자 체계를 일컫습니다. ‘집 코드를 입력하세요’라는 문장은 사실 “우편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뜻입니다. ZIP이라는 단어를 ‘지퍼(zipper)’에 빗대어 “우편물이 쭉쭉 잘 배달되도록”이라는 의미도 담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Post Code(포스트 코드/우편 코드): 영국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명칭입니다.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Postcode’(붙여 씀)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우편 번호와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와 숫자로 구성됩니다. 역사적으로는 1950~60년대에 런던 등 대도시 우편배달 효율을 위해 단계적으로 도입되었고, 이후 전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Post Code는 말 그대로 ‘우편의 코드’라는 의미로, 지역을 구분하는 체계입니다.

이처럼 같은 ‘우편번호’라 불리는 개념이지만, 미국에서는 ZIP Code, 영국 등에서는 Postcode/Postal Code, 캐나다에서는 Postal Code라는 명칭을 쓰는 등 나라별 용어와 형태가 다릅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국가별로 우편번호 체계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의 ZIP Code(집 코드) 체계

미국에서는 우편번호를 ZIP Code(집 코드)라고 부릅니다. ZIP은 “Zone Improvement Plan”의 약자로, 1963년 7월 1일에 USPS(미국우체국)가 우편물 분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했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인구가 늘고 도심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연간 우편물량이 폭증했는데, 도로와 항공 수송으로 물류 시스템이 변화하던 시기였습니다. 이에 우체국은 5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ZIP 코드를 전국적으로 적용하여 지역별 구분을 강화했고, 이로써 우편물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배달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ZIP 코드의 기본 형식은 5자리 숫자이며, 추가로 더 세분화된 위치까지 나타내기 위해 끝에 4자리 숫자를 덧붙이는 ZIP+4 코드가 도입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10001은 뉴욕 맨해튼의 ZIP 코드이며, 10001-1234처럼 끝에 네 자리를 붙이면 그 안에서도 특정 지역이나 건물 단위까지 정확히 지정할 수 있습니다. 첫 숫자는 대략적인 지역(동부·중서부·서부 등)을, 뒷자리들은 점차 세분화된 지역과 우체국 배달 구역을 나타냅니다.

미국 내에서는 주소를 쓸 때 일반적으로 “City(도시) – State(주) – ZIP Code” 순서로 적습니다.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의 한 주소라면 Los Angeles, CA 90001과 같이 City와 뒤에 State 약칭, 그리고 5자리 ZIP 코드를 씁니다. 미국 사이트에 주소를 입력할 때는 대체로 ZIP Code라는 라벨이 붙어 있어, 우리나라 우편번호를 의미하는 ‘우편번호’를 영어로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국과 영연방의 Post Code(포스트코드) 체계

영국에서는 우편번호를 Postcode(포스트코드)라고 부릅니다. UK는 인구밀도가 높고 도시가 복잡하기 때문에, 1959년 런던에서 우편배달 효율화를 위해 지역별 우편번호 시스템을 시범 도입한 후 1974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한 역사가 있습니다. 영국의 우편번호는 일반적으로 영문자와 숫자가 섞인 6~8자리 형식입니다. 예를 들어 SW1A 1AAW1A 0AX 같은 형태로, 중간에 한 칸의 공백(Space)이 들어갑니다. 앞쪽 몇 자리(Outward code)가 우편 지역(도시 구역)과 우편국 구를 나타내고, 뒷부분(Inward code)은 좀 더 세부적인 동네 구역이나 건물 단위를 나타냅니다.

주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영문자+숫자 혼합: 일반적으로 첫 글자는 알파벳이며 영국 지명의 머리글자를 따서 짓습니다. (예: SW는 ‘South West London’, E는 ‘East London’, M는 ‘Manchester’ 등.)
  • 블록(Outward/Inward): 예를 들어 SW1A 2AA에서 SW1A가 바깥 코드(outward code), 2AA가 안쪽 코드(inward code)입니다. 앞 코드는 넓은 구역, 뒤 코드는 세부 구역을 뜻합니다.
  • 길이 다양: 우편번호 전체 길이는 대략 57자까지 쓰입니다. (예: 런던 중심가는 67자, 도심 외곽이나 소도시는 5~6자 등.) 반드시 앞부분과 뒷부분 사이에 공백(space)을 넣습니다.

영국 이외에 아일랜드나 호주, 뉴질랜드 같은 곳에서도 유사한 형식의 Postcode를 쓰지만, 호주는 단순히 4자리 숫자(예: 2000), 뉴질랜드도 4자리 숫자 등을 사용합니다. 영국 사이트나 영어권 쇼핑몰에서는 우편번호 칸에 “Postcode”라고 쓰여 있거나, 단순히 “Postal code”라고 안내되기도 합니다. 이는 영국식 용어 사용과 국제 용어가 혼용된 경우로, 둘 다 우편번호라는 뜻입니다.

캐나다의 Postal Code 체계

캐나다에서는 공식적으로 Postal Code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캐나다의 우편번호는 알파벳과 숫자가 교차된 6자리로 구성되며 보통 “A1A 1A1”과 같은 형식을 띱니다. 예를 들어 K1A 0B1 같은 코드가 그 예입니다. 이 체계는 1970년대 도입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문자-숫자 조합: 첫 글자(알파벳)는 특정 주나 준주의 지역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K로 시작하면 오타와(온타리오 주) 지역, H는 몬트리올(퀘벡 주) 지역, V는 밴쿠버(브리티시컬럼비아) 같은 식입니다.
  • 공백 사용: 일반적으로 세 번째 문자와 네 번째 문자 사이에 한 칸 공백을 넣어 ANA NAN 구조(알파벳-숫자-알파벳 공백 숫자-알파벳-숫자)로 씁니다.
  • 대문자 표기: 영문 알파벳은 대문자로 표기하며, D, F, I, O, Q, U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 더 세분화: 이렇게 조합된 6자리로도 충분한 개수를 나타낼 수 있어, 우체국은 이 번호만으로 메일을 세부 지역까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 사이트나 국제 쇼핑몰에서는 캐나다 주소를 입력할 때 “Postal Code”라는 칸에 위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퀘벡의 한 주소는 G1A 0A2, BC의 주소는 V5K 0A1 같은 식으로 적습니다. 한국과 달리 캐나다는 두 개의 도시(프랑스어·영어 사용 지역)로 나뉘지만, 우편번호 체계는 전국적으로 동일합니다.

한국의 우편번호 체계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우편번호’라는 이름을 사용해 왔습니다. 한때 6자리 숫자로 구성되었으나, 2015년 8월 1일부터 국가 기본구역 코드에 기반한 5자리 우편번호를 사용 중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의 우편번호는 06273처럼 5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옛날 주소인 도로명 도입 이전에는 6자리였지만, 현재는 도로명주소와 통합되면서 5자리로 바뀌었습니다.)

한국처럼 주소가 도시-구-동-도로명 순으로 내려쓰는 나라도 드물지만, 해외 사이트 주소 입력란에서는 주로 국가, 도시(city), 시/도(Province/State), 우편번호(Postal/ZIP Code) 순서로 구분됩니다. 한국 주소를 입력할 때는 Country: South Korea를 고르고, 시/도 부분에는 Seoul 등 광역시나 도를, 그 외 State/Province 칸이 있으면 대한민국은 주 단위가 없으므로 생략하거나 Seoul을 반복해서 적기도 합니다. 그리고 Postal Code 칸에 한국 우편번호(예: 06273)를 입력하면 됩니다.

국내 쇼핑몰에서는 보통 ‘우편번호 검색’을 이용해 5자리 우편번호를 찾도록 되어 있습니다. 해외 사이트에서도 마찬가지로, 한국 주소를 쓸 때 Postal Code 칸에 이 5자리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아마존에서 Seoul, Gangnam-gu, Teheran-ro 427, 06273, South Korea처럼 입력하면 됩니다.

해외 사이트 실제 예시: 우편번호 필드 사용법

다음은 해외 웹사이트나 쇼핑몰에서 주소를 입력할 때 마주칠 수 있는 예시입니다. 아래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실제 사이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Amazon.com (미국): 미국 주소를 입력할 때는 City, State, ZIP Code 칸이 나옵니다. 예: City: Los Angeles, State: CA, ZIP Code: 90001과 같이 적습니다. 해외에서 한국으로 배송받을 경우 Country를 South Korea로 정하면 ZIP/Postal Code 칸에 한국 우편번호(예: 06273)를 입력합니다.
  • Amazon.co.uk (영국): 영국 주소에는 Town/City, County, Postcode 칸이 있습니다. 예: City: London, County: (빈칸 가능), Postcode: SW1A 1AA를 적습니다. 한국 주소를 입력할 땐 Postcode 칸에 06273처럼 한국 우편번호를 쓰면 됩니다.
  • 이베이(eBay): 국제 배송 주소를 입력할 때 국가별로 Postal code 혹은 ZIP code 라벨이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미국 주소에는 “ZIP code”, 영국 주소에는 “Postcode”, 그 외 국가에는 일반적으로 “Postal code”가 표기됩니다.
  • AliExpress (글로벌): 여러 국가 배송을 지원하는 사이트로, Postal Code라는 문구로 우편번호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배송지를 적을 때 Postal Code: 06273을 입력하면 됩니다.
  • Kakao Pay/Apple 계정 주소: 결제 정보에 주소를 등록할 때에도 우편번호가 필요한데, 해외 양식에는 Postal/ZIP code란이 있습니다. 이때 한국 주소의 우편번호를 그대로 쓰시면 됩니다.

이처럼 해외 사이트에서는 보통 “Postal Code”, “ZIP Code”, “Postcode” 등의 이름으로 우편번호 입력 칸을 제공합니다. 사이트가 미국계이면 “ZIP”, 영국계면 “Postcode”, 그 외는 “Postal Code”로 표기되지만 의미는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편번호의 실제 숫자나 코드 형식이므로, 해당 국가의 우편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한국인이 헷갈리는 부분과 입력 팁

해외 주소 입력 시 한국 사용자들이 혼동하기 쉬운 부분과 유용한 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용어 혼동: ‘ZIP Code’, ‘Postal Code’, ‘Post Code’는 모두 “우편번호”를 의미합니다. 미국에서는 ZIP Code, 영국/캐나다에서는 Postal/Postcode라는 이름을 쓰는 것이고, 기능적으로는 동일한 개념입니다. 해외 쇼핑몰에서 나오는 용어에 따라 다른 것처럼 보여도, 결국 우리나라의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국가 선택 필수: 주소를 입력할 때 가장 먼저 Country(국가)를 선택해야 해당 국가의 우편번호 체계에 맞는 레이블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나라를 ‘United States’로 설정하면 ‘ZIP Code’ 칸이 뜨고, ‘United Kingdom’으로 설정하면 ‘Postcode’ 칸이 나타납니다. 한국으로 배송받을 경우 ‘South Korea’를 선택하면 일반적으로 ‘Postal Code’로 표시됩니다.
  • 우편번호 형식: 각국 우편번호 형식을 살펴두면 입력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미국 ZIP 코드는 반드시 숫자 5자리(예: 02138)이며, 뒤에 추가 4자리를 넣을 때는 12345-6789처럼 하이픈(-)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영국 포스트코드는 영문자-숫자 혼합(예: SW1A 1AA)이고, 공백을 빼먹지 말아야 합니다. 캐나다 우편번호도 영문자-숫자 패턴(예: A1B 2C3)이며, 영문은 대문자로 입력합니다. 한국은 5자리 숫자(예: 12345)입니다.
  • 우편번호 검색 사용: 해외 사이트라 해도 한국 주소 입력 시에는 네이버 등 국내 우편번호 검색 사이트에서 현재 우편번호를 찾아 입력하세요. (도로명 주소와 함께 우편번호도 변경된 경우를 대비) 간혹 구버전(6자리) 우편번호나 오래된 주소 체계를 쓰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최신 우편번호를 확인한 후 입력해야 합니다.
  • 영어 주소 구성: 한국 주소를 영문으로 쓸 때는 시/도, 구/군, 도로명, 건물번호, [건물명] 순으로 작성하되, 해외 주소 양식에 맞춰 City/Province 등 칸에 나눠 넣습니다. 예를 들어 Seoul, Gangnam-gu, Teheran-ro 427, 06273과 같이 적습니다. Province/State 칸이 있으면 Seoul을 쓰거나 비워둘 수 있고, City 칸에 Gangnam-gu를 넣어도 됩니다.
  • 사이트별 안내 문구 참고: 외국 사이트에서는 종종 ‘Enter postal code’ 혹은 ‘ZIP code:’ 같은 안내문이 표시됩니다. 이때 굳이 깊이 고민하지 말고, 본인의 나라에서 쓰는 우편번호를 그대로 쓰면 됩니다. 예를 들어 “Please enter your postal code”라고 뜨면 우편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뜻입니다.
  • 경우에 따라 예외: 몇몇 국가는 우편번호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아랍에미리트는 우편번호 체계가 없으며, 중국은 우편번호(6자리)가 있지만 “Postal Code”와 안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영국·캐나다·한국은 확실히 우편번호를 쓰는 국가이므로, 위 예시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외에도 “State”(주)칸과 “City”칸 구분이 헷갈리거나, 주소를 제대로 나누어 입력해야 하는 등 복잡한 부분이 있긴 합니다. 그러나 우편번호 항목에 관해서는 국가별 우편번호(한국은 5자리 숫자)를 정확히 적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용어가 나와도 당황하지 말고, 본인의 우편번호를 찾아 입력하세요.

마치며

이상으로 해외 사이트에서 흔히 접하는 Postal Code, ZIP Code, Post Code의 정의와 유래, 주요 국가별 사용 방식과 실제 입력 예시, 그리고 한국인이 자주 헷갈리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요약하자면, 이들 용어는 모두 우편번호를 뜻하는 말로, 미국에서는 ZIP Code, 영국·캐나다 등에서는 Postal/Postcode, 한국은 자국어로 ‘우편번호’라고 표시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해외 쇼핑몰에 주소를 적을 때 이 필드가 나와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해당 국가의 우편번호를 정확히 넣으면 됩니다.

특히, 국가를 잘 선택하는 것, 각국 우편번호 형식의 차이를 인지하는 것만 숙지하시면 주소 입력은 훨씬 수월해집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라면 5자리 숫자, 영국이라면 영문자가 포함된 형식, 캐나다는 영문-숫자 6자리, 한국은 5자리 숫자 등을 제대로 입력하시면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됩니다. 해외 사이트 주소 입력 경험을 통해 더 익숙해지면, 다음부터는 “Postal Code인데 ZIP Code랑 다른가?”라는 고민 없이 자연스럽게 우편번호를 적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해외 사이트에서 주소와 배송 정보를 입력할 때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전한 결제와 빠른 배송을 위해 우편번호 한 줄도 놓치지 마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