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뜻 | BGM 약자 | OST BGM 차이 | BGM 관련 용어들
“브금”이라는 단어는 영어 단어인 BGM(Background Music)의 줄임말로, 일반적으로 “배경 음악”을 뜻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금은 영상이나 이미지 등과 함께 배경으로 삽입되어 해당 장면의 분위기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음악입니다.
브금 뜻
브금이라는 말은 “Back Ground Music”의 약자로, 주로 미디어 콘텐츠(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유튜브 영상 등)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시각적 요소 뒤에 삽입되어 배경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가리킵니다. 브금은 화면에서 시각적 요소가 전달하지 못하는 미묘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하거나 보완하여 시청자의 몰입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 긴장감 넘치는 추격전 장면에 빠르고 강렬한 음악이 삽입되면 시청자들의 긴장감을 배가시키고, 로맨틱한 장면에 부드럽고 서정적인 음악이 들어가면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이나 작업을 하면서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해 배경음악을 틀어놓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브금의 활용 사례 중 하나입니다.
브금의 종류와 활용
브금(BGM, Background Music)은 미디어 콘텐츠의 분위기를 설정하거나 감정 전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악입니다. 브금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다이제틱 음악(Diegetic Music) 다이제틱 음악이란 작품 내부의 캐릭터들이 실제로 듣거나 연주하는 음악을 말합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라디오, 콘서트 현장, 거리에서 연주하는 악사의 음악 등 작품 내부의 현실 세계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음악입니다. 예를 들어, 영화 속 주인공이 카페에서 듣는 음악이나 차 안의 라디오 음악 등이 다이제틱 음악에 해당합니다. 다이제틱 음악은 시청자가 작품 속 캐릭터와 동일한 현실감을 공유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넌다이제틱 음악(Non-diegetic Music) 넌다이제틱 음악은 작품의 캐릭터들이 듣지 못하고, 오로지 관객이나 시청자에게만 들리는 음악입니다. 주로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며,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감정을 강조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 영화의 추격 장면에서의 긴박한 음악이나 로맨틱 영화의 감성적인 장면에서의 서정적인 음악 등이 넌다이제틱 음악에 해당합니다.
최근 개인 방송이나 유튜브 등에서 컨텐츠의 분위기와 특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브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게임 스트리밍이나 학습 콘텐츠 등에서 집중력 유지나 긴장감 조성을 위해 브금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브금(BGM)과 OST의 차이점
브금(BGM)과 OST(Original Sound Track)는 음악의 제작 목적과 사용 방식에 따라 구분됩니다.
- BGM(Background Music): 브금은 특정 작품을 위해 반드시 새롭게 창작된 음악이 아닐 수 있으며, 분위기 전달이나 감정의 표현을 위해 다양한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정 장면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BGM이 여러 다른 작품에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 OST(Original Sound Track): OST는 특정 영화, 드라마, 게임 등 한 작품만을 위해 작곡된 음악입니다. 작품의 주제와 밀접하게 연관된 가사와 멜로디를 통해 작품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캐릭터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OST는 상업적인 목적으로도 발매되며 팬들의 애정을 받아 별도의 음반 형태로 판매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이 만나는 장면에서 흐르는 일반적인 배경음악은 BGM으로 분류되지만, 이 드라마만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주제곡이나 캐릭터 테마곡 등은 OST로 분류됩니다.
브금과 관련된 최근 트렌드
최근에는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브금의 활용도와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의 특성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브금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활용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저작권 문제가 부각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생겨났습니다. 대표적으로 유튜브는 오디오 보관함을 통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브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브금대통령’과 같은 크리에이터들은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음악을 제작하고 출처를 명확히 표기하는 조건으로 무료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콘텐츠 제작자들이 창작 활동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저작권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또한, 이로 인해 “브금”이라는 용어가 더욱 친숙해졌으며, 창작자들 사이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이고 독창성을 부각하는 데 있어 브금의 선택과 활용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BGM 영어로
BGM은 ‘Background Music’의 약자이며, 영어권에서도 그대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Background Music의 약어로, 말 그대로 ‘배경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라는 의미입니다. 영어권 국가에서도 일반적으로 “BGM”이라고 줄여 쓰며, 이는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용어입니다.
BGM의 영어 표현과 예시
영어로 Background Music은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이나 카페에서 손님들의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잔잔한 음악을 재생할 때, 혹은 쇼핑몰, 엘리베이터, 사무실 등 일상 공간에서 배경으로 틀어놓는 음악을 모두 BGM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시 문장:
- “The café plays soothing BGM that enhances the relaxing atmosphere.” (카페에서는 편안한 분위기를 더해주는 부드러운 BGM을 틀어놓습니다.)
- “I usually listen to jazz as BGM while studying to improve my concentration.” (나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부드러운 BGM을 듣습니다.)
BGM과 관련된 용어
- Original Score (오리지널 스코어)
-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특정 작품을 위해 작곡된 배경음악을 말합니다.
- 주로 기악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화의 장면과 이야기 전개를 보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Original Sound Track (OST)
- 특정 작품을 위해 작곡되고 제작된 음악을 모아 발매한 음반입니다.
- 오리지널 스코어 외에 보컬곡(노래)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Insert Song (삽입곡)
- 기존에 발매된 곡이나 작품과 관련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노래가 특정 작품의 특정 장면에 삽입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 Theme Song (테마곡)
- 작품의 주제나 캐릭터를 상징하는 곡으로, 주로 작품의 오프닝이나 엔딩에 사용되며 OST의 한 형태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